재테크
전세 계약 전 필수 확인사항 8가지
subinity
2025. 4. 17. 14:44
✅ 전세 계약 전 필수 확인사항 8가지
1. 등기부등본 확인 (가장 중요!)
- 발급은 계약 당일, 최신본으로
- ✔️ 집주인이 실제 소유자인지 확인
- ✔️ 근저당, 압류, 가압류, 전세권 등 권리관계 확인
- ✔️ 보증금보다 선순위 채권이 있으면 절대 계약 X
2. 전입신고 + 확정일자 가능한지 확인
- ✔️ 대항력 + 우선변제권 확보를 위한 필수 절차
- ✔️ 오피스텔, 다세대, 생활숙박시설 등은 전입 가능한지 꼭 체크
- ✔️ 계약 후 바로 전입신고 + 확정일자 받기 (주민센터 or 온라인 가능)
3. 집주인과 계약하는지, 대리인인지 확인
- ✔️ 집주인이 직접 계약하는지
- ✔️ 대리인이라면 위임장, 인감증명서 지참 여부 확인
- ✔️ 전세사기에서 가장 흔한 수법이 ‘위장 임대인’이에요!
4.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가능한지 확인
- ✔️ HUG, SGI 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 확인
- ✔️ 건물 용도, 시세, 전입 가능성, 집주인 신용 등 고려
- ✔️ 미가입 시 나중에 보증금 돌려받기 어려울 수 있음
5. 건물 용도 확인 (건축물대장)
- ✔️ 주택용 건물인지 확인 (아파트, 다세대, 연립, 오피스텔 등)
- ❌ '숙박시설', '상가', '창고' 등은 전입 불가하거나 보증보험 가입 불가
6. 시세보다 보증금이 비정상적으로 높진 않은지
- ✔️ 실거래가나 주변 시세와 비교
- ✔️ 전세가율 90% 이상이면 위험 신호
- ✔️ ‘신축 빌라 전세’나 '깡통전세' 특히 주의
7. 관리비 내역 및 포함 항목 확인
- ✔️ 관리비에 어떤 항목이 포함되는지 (전기/수도/인터넷/청소 등)
- ✔️ 월세 수준의 관리비 부과 사례도 있으므로 꼼꼼히 체크
8. 계약금, 중도금, 잔금 일정 분배 확인
- ✔️ 전입신고 전에는 잔금 전액 입금하지 않는 것이 안전
- ✔️ 계약금 납입 후 → 등기부등본 다시 한 번 확인 필수!
✍️ + 계약 시 문서 작성 시 주의할 점
항목 | 체크 포인트 |
임대차계약서 |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양식 사용 권장 |
특약사항 | 보일러 고장, 전세보증보험 수수료 부담 주체 등 명확히 |
임대인 인적사항 | 주민번호/주소 기재되어 있는지 확인 |
✅ 꿀팁 요약
- 등기부등본, 건축물대장 → 계약 전에 반드시 본다
- 전입신고 가능 여부 + 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 체크
- 계약 당일에도 한 번 더 확인! (집주인 변동, 근저당 설정 등 있을 수 있음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