📢 2025년 부동산 공시가격 인상, 재산세·종합부동산세 얼마나 오를까?
2025년부터 부동산 공시가격이 다시 인상됩니다.
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5년 공시지가 조정안에 따르면, 전국 아파트를 포함한 공동주택의 공시가격이 평균 3.65% 상승했는데요.
이게 무슨 의미일까요?
공시가격이 오르면 재산세, 종합부동산세(종부세) 같은 부동산세금도 자연스럽게 오르게 됩니다.
특히 서울은 상승률이 7.86%로 가장 높아, 일부 지역은 세금 부담이 커질 전망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
- 부동산 공시가격이 뭔지
- 재산세·종부세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
- 실제 사례와 함께
쉽고 명확하게 정리해 드릴게요. 20대도 이해할 수 있게!
📌 부동산 공시가격이란?
부동산 공시가격은 정부(국토교통부)가 매년 발표하는 공식 부동산 가격입니다.
말 그대로 ‘이 집은 이 정도 가치를 갖는다’는 정부 인증 시세라고 볼 수 있어요.
이 공시가격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
👉 재산세, 종부세, 건강보험료 산정, 복지 혜택 등
여러 세금과 행정 기준이 되는 아주 중요한 기준입니다.
💸 공시가격 오르면 재산세도 오른다?
맞습니다. 재산세는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
예를 들어,
- 작년에는 공시가격이 5억 원이라 재산세가 70만 원이었다면
- 올해 공시가격이 5.5억 원으로 오르면 재산세도 약 10~15%가량 오를 수 있어요.
2025년 서울은 평균 7.86% 인상, 강남3구는 10% 이상 인상된 만큼,
강남·서초·송파에 집이 있는 사람들은 세금이 꽤 오를 수 있겠죠.
🏠 종합부동산세 대상자, 얼마나 늘어날까?
2025년 기준, 공시가격 12억 원 초과 1주택자는 종부세 대상입니다.
이번 인상으로 종부세 대상자가 약 5만 가구 증가해, 총 약 31만 가구가 종부세를 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
🧾 예시 – 마포래미안푸르지오
- 2024년 공시가격: 11.45억 원 → 종부세 없음
- 2025년 공시가격: 13.16억 원 (14.9%↑)
→ 종부세 약 27만 원,
→ 보유세 전체는 287만 원 (17.5%↑)
단 한 해 만에 수십만 원의 세금이 늘어나는 것이죠.
📊 재산세 계산법 간단 정리
- 공시가격 확인
- 공정시장가액비율 × 세율 = 재산세 계산 기준금액
- 여기에 세액공제나 1세대 1주택 감면 등 적용
※ 세율은 구간별로 달라지고,
공정시장가액비율은 매년 변동 가능
👉 [재산세 계산기 사용 추천]
→ 서울시 부동산정보광장, 홈택스, 지자체 사이트
🏘️ 2025년 공시가격 현실화율은?
- 공시가격 현실화율이란: 시세 대비 공시가격의 비율을 말합니다.
- 정부는 공시가격을 시세의 90%까지 올리는 장기 계획(이른바 공시가격 현실화 로드맵)을 가지고 있으나,
최근 몇 년간 급격한 인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현실화율을 낮게 유지하고 있습니다.
📌 2025년 기준 현실화율은 평균 69% 내외 (주택 종류별 상이)
→ 시세가 10억이면 공시가격은 약 6.9억으로 반영된다는 의미입니다.
🏠 1세대 1주택자 공시가격 12억 원 초과 시 종부세 대상?
맞습니다.
1세대 1주택자 기준으로는 공시가격 12억 원 초과 시 종합부동산세 대상자가 됩니다.
다만 고령자·장기보유자 공제 등의 조건이 있다면 세 부담은 크게 줄어들 수 있어요.
💡 예: 60세 이상 + 10년 이상 보유 → 최대 80% 공제 가능
👉 이 조합이면 세금이 거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.
💡 보유세 줄이는 tip 은?
보유세(재산세+종부세) 부담을 줄이기 위한 팁도 꼭 알아두세요.
부부 명의 분산 | 부동산을 공동명의로 하여 종부세 기준선 분산 가능 |
장기보유 활용 | 5년 이상~10년 이상 보유 시 세율 완화 혜택 |
고령자 세액공제 | 60세 이상 시 세금 공제 비율 최대 80% 가능 |
다주택 정리 | 2주택 이상 보유 시 종부세 중과 → 주택 수 정리 필요 |
📊 2025년 공동주택 공시가격 변동폭 상위 지역
지역 | 공시 가격 상승률 (전년대비) |
서초구 | +11.63% |
강남구 | +11.19% |
송파구 | +10.04% |
광진구 | +9.89% |
성동구 | +9.24% |
👉 위 지역 거주자일수록 세금 시뮬레이션 꼭 해보셔야 합니다.
📆 재산세/종부세 납부 시기
세금 종류 | 부과 기준일 | 납부시기 |
재산세 | 매년 6월 1일 | 7월(주택1/2) + 9월(나머지1/2) |
종합부동산세 | 매년 6월 1일 | 12월 납부 |
※ 공시가격 기준일은 1월 1일, 매년 4월경 최종 공시 확정
🧾 6. 공시가격 확인 방법
-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
- 홈택스 → 내 세금 계산기
- 서울시 부동산정보광장
👉 주소 입력만으로 간편하게 확인 가능
📣 20대를 위한 현실 조언
“나는 집 없는데 왜 이걸 알아야 해?”
좋은 질문이에요!
하지만 곧 집을 사거나, 상속을 받거나, 결혼해서 내 명의로 부동산을 가질 수 있죠.
그때 ‘공시가격? 재산세? 그게 뭐야?’ 하면 뒤늦게 놀랍니다.
부동산 공시지가 인상과 부동산세금 구조는 미리 알아두면,
내 집 마련할 때도, 청약이나 절세 전략 짤 때도 엄청 유용합니다.
✅ 정리
- 공시가격 인상 = 세금 인상 신호
- 재산세·종부세 대상 확대
- 서울/강남권 공시지가 급등 → 보유세 부담도 증가
- 20대도 꼭 알아야 할 기본 부동산 상식
#부동산공시가격 #공시지가인상 #재산세 #종합부동산세 #종부세계산법 #공시가격2025 #부동산세금 #서울공시지가 #세금폭탄 #부동산이슈
'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🔍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시, 한국 경제와 세계 정세는 어떻게 바뀔까? (5) | 2025.04.04 |
---|---|
1가구 2주택 보유 시, 종부세 폭탄 피하는 법 총정리 (0) | 2025.04.03 |
부동산 중개사 잘 만나는 법, 집 직접 파는 방법, 중개 수수료 계산법 (3) | 2025.04.01 |
📚 20대 재테크 책 추천 BEST 10 (7) | 2025.03.31 |
2025년 전기차 보조금 정책 완전 분석 – 청년부터 자영업자까지 혜택 총정리 (5) | 2025.03.30 |